기사3 AI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생각 데이터센터 건립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현재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사업이며, 이에 따라 여러 산업의 발전이 예상됩니다.(기사 1, 기사 2 참고) 첫째로 당연히 NVIDIA 등 AI칩을 설계하는 업종이 성장하겠고, 현재 그래픽카드 자체는 '현존하는 칩 중 AI에 최적화되어 있을 뿐' AI용 칩은 아니기 때문에 RISC-V 로 칭해지는 AI칩 설계 를 하는 기업이 성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.(기사 3 참고) 둘째로 이 칩을 생산하는 파운드리 (TSMC, 삼성) 도 성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. 다만 이는 중국-대만 관계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.(기사 4 참고) 셋째로 데이터센터 운용에 있어 천문학적인 전력이 든다는 점입니다. 현재 미국의 전력사업은 천연가스가 1위, 풍력 .. 2024. 4. 4. 포퓰리즘적 지원에 대한 생각 물가 오른 만큼 지원금 뿌리면 모두 金사과 사먹을 수 있을까(https://www.hankyung.com/article/2024040120541 출산지원금 늘면 뭐하나... "2주 400만원" 조리원 요금 뛰는 까닭(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97996#home) 첫째로 정부가 돈을 시장에 풀어버림으로써 통화량 증가에 의한 소비 진작, 이에 따른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는 '화폐수량설'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. 여기서는 사과를 파는 나라의 예시를 들었는데요, 저는 이 기사를 읽고 다른 생각이 들었습니다. 언젠가 정부에서 출산율 대책의 일환으로 산후조리원 이용에 대한 지원금을 지급한 적이 있었습니다. 그런데 이 지원금은 의미가 없었습니다. 산후조리원들.. 2024. 4. 3. “인스타엔 온통 화려한 삶”…‘행복한 타인’에 쌓이는 박탈감 https://www.munhwa.com/news/view.html?no=2021070701030930130001 “인스타엔 온통 화려한 삶”…‘행복한 타인’에 쌓이는 박탈감 ■ 2030 MZ세대 보고서 ④ MZ의 행복론 - SNS 우울증서열화·경쟁 속에서 성장해 SNS ‘과시용 게시물’ 보며 ‘나는 뭐하고 있었지’ 우울감 평등 의식 높아 스트레스도 SNS서 박탈감도 느끼지만 익 www.munhwa.com 일본의 출산율이 1.2명 정도로 알고 있는데, '차원이 다른 대책'을 발표한다고 한다. 그리고 그 목표 중 첫 번째가 '20대가 살만 하다고 느끼게 하는 것' 이란다. 필자는 우리 세대가 살 만 하다고 느끼는 것의 기준이, 즉 행복의 기준이 점차 올라가고만 있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고, 그 원.. 2024. 3. 18. 이전 1 다음